안녕하세요~


오늘은 재개발 이야기가 아닌 다소 색다른 주제로 이야기 나눠볼까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입니다.



그럼 도시재생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봐야겠죠?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약칭: 도시재생법 )

[시행 2018.3.20.] [법률 제15489호, 2018.3.20., 타법개정] 공포법령보기


       제1장 총칙

 이 법은 도시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활력 회복을 위하여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도시의 자생적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하며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는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7.12.26.>

1.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ㆍ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럼 왜 정부는 도시 재생 사업을 하려는 걸까요?

그 첫번째 이유는 구심의 슬럼화 현상때문입니다. 1960년대 우리나라 고속성장기였다는 것은 잘 아시죠? 아래 표는 한국은행 보고서인대요. 최근 집값이 많이 올랐다고 생각하시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고속성장기인 60년대>70년대>80년대 순입니다. 


 




고속성장기때에 일자리를 찾아서 도심으로 이주해온 서민들은 지속적인 지가 상승이 누적된 상황을 맞이하게 된것이죠.

그리고 때마침 정부는 신도시 등을 건설하게 되면서 그쪽으로 대규모 이주가 시작됩니다. 그러면 그동안 살았던 도시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사람이 점점 떠나면서 예전모습을 갖직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현재 기준에서는 살기 불편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게 됩니다. 이런 구심을 어떤 사람들은 문화유산이라고 보고 보존해야 한다고도 하고요~ 다른 어떤사람들은 살기에 불편하고 미관에도 좋지 않으므로 새로운 마을을 조성해야 한다고 하기도 합니다.


오래된 마을을 새로 만들어서 보다 살기 좋게 만들자고 하는 사람들은 '재개발' 을 추진하겠죠?

그게 아니라 60년대 부터 이어진 오랜 마을의 모습도 우리의 문화유산이 될 수 있으니 잘 보존하자고 하는 쪽의 사람들은 '도심재생'을 추진하게 됩니다.

제가 앞서 설명드린 재개발 사업으로 만들어지는 아파트 단지와 도심재생 사업으로 구심을 보존하면서 편리하게 살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심재생' 사업입니다.







출처 : 도시재생뉴딜 블로그

어려분은 어떠한 방식이 좋으신거 같나요?

예전에 다큐멘터리에서 재미있는 통계를 봤습니다. 아파트단지에서 자란 아이들과 단독주택단지에서 자란아이들이 마을의 범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조사였는데요~여러분들은 이 결과가 어떻게 나왔을 것 같나요?


아파트에서 자라온 아이들은 마을을 자신이 살고 있는 아파트 단지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단독주택단지에서 자란 아이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동 이상의 범위를 마을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를 접했습니다. 단독주택에서 자란 아이들이 마을을 인식하는 범위가 훨씬 더 넓다는 것이죠.


물론, 우리의 주거형태를 단순히 마을의 인식범위를 기준으로 결정해야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마을의 인식 범위가 넓다고 해서 더 좋은 시민으로 성장한다는 근거도 없죠.

하지만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었는지에 대한 인식과 그러한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와 존중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저야 물론, 아파트에서 사는게 편하죠~^^ 경비원 아저씨가 택배도 받아주고, 단독주택에 비해 아파트 관리가 용이하구요, 냉난방에 있어서도 더 편리하죠. 아파트에 사는 것은 주택에 거주하는 것에 비해서 여러모로 효율적인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왜 갑자기 도시재생 사업을 하려는 것일까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약칭: 도시재생법 )

[시행 2018.3.20.] [법률 제15489호, 2018.3.20., 타법개정] 공포법령보기

 이 법은 도시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활력 회복을 위하여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도시의 자생적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하며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는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낙후되었던 구심을 재개발 방식으로 없애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도심기능과 지역공동체를 회복시켜느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개발의 경우에는 조합원이라 하더라도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그런데 가난한 서민들의 경우에는 조합원들의 추가 분담금을 지불할 능력이 없으며, 설사 있다고 하더라도 공사기간 중에 살아갈 수 있는 집을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금전적 여력이 없으신 서민분들은 주거터전을 빼앗기고 다른 곳으로 이주하셔야 했죠. 하지만 도심재생 방식으로 개발이 이루어 진다면, 기존 주민들은 이주할 필요가 없이 보다 좋은 환경에서 주거를 계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동안 재개발 방식의 한계를 절감한 이번 정부는 '도심재생'의 방식을 적극 추진할 모양입니다.










그리고 단순히 도심재생사업에 그치지 않고 청년일자리 창출과 연계하는 등 최대한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사업을 구상중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5년 동안 구도심을 중심으로 청년 스타트업 등이 모이는 혁신공간 250곳이 마련되며 각각 시세 50%, 80% 이하의 임대료만 부담하는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공간과 영세상인 공공임대상가도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통해 조성된다고 하니 기대해볼만 하겠죠?


기존의 빈집 등을 리모델링하여 저렴한 임대료로 분양하여 소상공인 청년창업에 기회를 주고, 구심의 활성화에도 기여한다는 이러한 사업계획은 좋아보이며, 꼭 성공하길 기도해 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더 기대되는 것은 주거환경이 열악한 노후 주거지를 파악해 선진국 수준의 생활인프라가 마련된다고 합니다. 특히, 자율주택정비사업을 위한 통합지원센터 설립, 가로주택 정비사업에 대한 융자 등 소규모 정비사업에 대한 지원이 강화된다고 하네요~


그럼 실제로 각 지자체에서 이런 목적에 맞춰서 잘 시행하고 있는지 볼까요? 제가 살고 있는 부산시를 예로 들어보죠

연도별 사업현황

연도별 사업현황

시설지역별 산업현황

시설지역별 산업현황

시설지역별 산업현황

유치환 우체통 등 관광자원으로 많이 활용되는 등 효과는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예산낭비나 효과가 적은 사업들도 눈에 띄네요

시설현황

  • 시설현황 53개소
  • (단위 : 백만원)
연번구별시설명사업비
(준공일자)
위치규모용도
(프로그램)
운영주체운영비
지원
1중 구 (3)산리 마을회관 (1차)804 (2013.3.4.)영주동 293-3연면적 329.66㎡ (지하1층/지상3층)마을카페, 농수산물판매,작은도서관, 사무실산리 협동조합
2금수현의  음악살롱 (1차)468 (2013.1.9.)대청동4가 2-384연면적 132.7㎡ (지하1층/지상1층)소공연장,  사무실, 북카페문화독해운동 지식나눔이마고시 20
3노인일자리 지원센터 (밀다원시대) (1차)669 (2013.1.30.)영주동 244-1연면적 98.3㎡ (지하1층/지상1층)북카페, 노인일자리지원센터사무실로사리오카리타스/ 노인복지관시 20
4동 구 (14/23)이바구공작소 (1차)1,081 (2013.2.25.)초량동 875-2연면적 265.77㎡ (지상 2층)생활자료관동구(직영)시 100
5장기려박사 기념 더나눔 (1차)1,379 (2013.4. )초량동 856-31연면적 383.05㎡ (지상 2층)장기려기념관,작은도서관, 북카페동구(직영)시 55
6유치환의  우체통 (1차)551 (2013.3.8.)초량동 827-44연면적 132.77㎡ (지상 2층)전시동구(직영) 
7까꼬막 (종합체험센터) (1차)160 (2012.12.13.)초량동 793-24연면적 63.26㎡ (지상 2층)산복도로 체험민박주민협의회
8이바구정거장 (1차)313 (2013.3.5.)초량동 994-321연면적 60.18㎡ (지상 3층)국수집(1층), 공부방(2층)주민협의회 (5지구)
9마실 한바쿠 (1차)287 (2012.12.13.)초량동 856-20연면적 52.65㎡ (지상 1층)마을공방 (비누, 리본공예품 판매)주민협의회 (6지구)
10죽림공동체 (1차)261 (2012.12.13.)초량동 919-9연면적 35.04㎡ (지상 1층)마을텃밭 (한과, 강정 등 판매)주민협의회 (7지구)
118남매 단칸방 (1차)126 (2012.12.17.)초량동 850-233연면적 17.1㎡ (지상 1층)주민쉼터주민협의회 (8지구)
12까꼬막카페 (1차)172 (2012.12.13.)초량동 793-46연면적 59.29㎡ (지상 2층)마을카페주민협의회 (10지구)
13이중섭  전망대 (3차)75 (2014.5.9.)범일동 1462-9연면적 32.24㎡ (지상 2층)휴게전망대동구(직영) 
14초량이바구길 (김민부전망대) (1차)1,089 (2013.3.14.)부산역∼초량초교∼168계단연면적 19.6㎡ (지상1층)휴게전망대동구지역자활센터
15증산로컬 푸드 직매장 (3차)250 (2014.12.10.)범일동 1352-72연면적 74.86㎡ (지상2층)마을사랑방 로컬푸드직매장주민협의회 (범일1지구) 
16아리랑고개 카페(3차)250 (2014.9.15.)범일동 1434-10연면적 74.86㎡ (지상2층)마을카페주민협의회 (범일3지구) 
17가마뫼  주민사랑방 (3차시범)190 (2015.3.6.)범일동 1352-146연면적 49.57㎡ (지상1층)주민사랑방주민협의회 (가마뫼마을) 
18동 구 (9/23)범일이바구길  (신발박물관) (3차)900 (2015.3.13.)범일동 1483-19연면적 52.09㎡ (지상1층)부산지역 신발산업 역사자료 전시동구(직영) 
19성북시장 쉼터 (3차)220 (2015.12.8.)범일동 1429-3연면적 93.95㎡ (지상2층)상인회 쉼터, 체력단련실성북시장 상인회 
20홍꼴 푸드앤카페 (4차)293 (2016.1.17.)수정동 1007-8연면적 82.24㎡ (지상2층)일반음식점, 북카페주민협의회 (수정1동) 
21수정애 (4차)239 (2016.6.23.)수정동 786-12연면적 99.56㎡ (지상 3층)북카페, 편백나무효소찜질방주민협의회 (수정2동) 
22수정마루 (4차)228 (2016.6.23.)수정동 1176-11연면적 116.55㎡ (지상 2층, 옥상)공동구판장, 마을회관, 도서관, 국화재배장주민협의회 (수정4동) 
23수정골마실 (4차)211 (2015.12.22.)수정동 443-2연면적 95.43㎡ (지상 2층)체력단련(필로티), 주민사랑방 주민협의회 (수정5동) 
24가마뫼나들목 (4차)250 (2016.1.25.)좌천동 793-5연면적 92.90㎡ (지상 2층)전통주 제조, 마을회관주민협의회 (좌천1지구)
25마을커뮤니티 센터 (4차)237 (2015.10.24.)좌천동 887-2연면적 226.25㎡ (지상 3층) *리모델링북카페, 주민사랑방주민협의회 (좌천2지구) 
26문화사랑방 공유 (4차)350 (2016.3.9.)수정동 109-1연면적 66.77㎡ (지상 2층)작가공방, 전시장 등동구(직영) 
27서 구 (7/9)꽃마을  문화예술전시관 (2차)80 (2012.6.9.)서대신동3가 7-219연면적 71.55㎡ (지상 2층)휴게카페㈜꽃마을 플라워 카페
28아미문화학습관 (2차)1,191 (2013.12.31.)아미동2가 89-9연면적 410㎡ (지상 3층)마을카페 최민식갤러리 프로그램실, 공부방아미골 협동조합시 60
29마을 커뮤니티 공동작업장 (2차)113 (2013.5.10.)아미동2가 89-146연면적 41.87㎡ (지상 2층)공동작업장아미골 협동조합 
30고분도리카페 (2차)212 (2013.4.20.)서대신동 2가 500-46연면적 66.9㎡ (지상 2층)마을카페고분도리 협동조합 
31기찻집 예술체험장 (2차)269 (2013.5.17.)아미동2가 89-78연면적 66.9㎡ (지상 2층)공공예술 체험장아미골 협동조합 
32부민하늘농원 (2차)200 (2013.8.27.)부민동3가 29-1연면적 43.92㎡ (3층 증축)농산물 수경재배부민하늘농원협동조합 
33사랑의 생선가게 (5차)520 (2015.10.26.)남부민동 50-401연면적 135㎡ (지상 2층)공동작업장, 커뮤니티공간남일행복나눔 협동조합공한수
34서 구 (2/9)남부민2동 샛디커뮤니티센터 (5차)800 (2016.09.25.)남부민동 427-9연면적 414.8㎡ (지하1층~3층)주민공동작업장 체력단련장 작은도서관샛디르네상스행복마을운영위원회공한수
35암남동 사랑쉼표 (5차)780 (2016.10.20.)암남동 81-10연면적 227.43㎡ (지상 2층)마을공동작업장 주민쉼터미정
36사하구(8)감내 어울터 (2차)817 (2012.5.23.)감천2동 10-13연면적 562.23㎡ (지하1층, 지상4층)도자기공방 카페, 전시실, 회의․교육장, 게스트하우스사하구 직영
37감내카페 (2차)73 (2012.5.13.)감천2동 2-188,189연면적 47.88㎡ (지상 1층)카페사)감천문화마을 주민협의회
38My Home 작은박물관 (2차)201 (2013.4.10.)감천2동 1-5,28연면적 100.73㎡ (지상1층)생활박물관사하구 직영시 20
39My Home 작은미술관 (2차) 65 (2013.1.12.)감내1로 197번길 36-11연면적 22.95㎡ (지상 1층)작품전시 (바람의 집)사하구 직영시 10
40My Home 작은미술관 (2차) 57 (2013.1.12.)감내1로 233번길 13-4연면적 20.21㎡ (지상 1층)작품전시 (낙서갤러리)
41My Home 작은미술관 (2차) 80 (2013.1.12.)감내1로 197번길36-5연면적 50.15㎡ (지상 1층)작품전시 (현대인의 방)
42감내맛집 (2차)261 (2013.3.1.)감천2동 1-25,2-367연면적 110.6㎡ (지상 2층)1층 고래사어묵 2층 감내맛집사)감천문화마을 주민협의회 
43감내골  다모아센터 (2차)315 (2013.3.21.)감천1동 31-31연면적 129.95 (지상 2층)작은 공부방, 주민작업장사하구 직영시 15
44감내 작은목간 (2차 연속)440 (2016.8.25.)감내1로 239-1연면적 133.37 (지상 2층)공동샤워장(1층), 경로당(2층)사)감천문화마을 주민협의회 
45부산진구(5)범천안창마을 통합회관 (3차)193 (2014.12.17.)안창로72번길17연면적 66㎡ (지상1층)주민사랑방주민협의회 (안창마을)김병환
46신암마을 주민사랑방 (3차)264 (2014.11.4.)신암로 173-8연면적 112.64㎡ (지상1층)주민사랑방주민협의회 (신암마을)
47선암정다운 학습관 (3차)177 (2014.11.9.)신암로 117번길 28-11연면적 150.17㎡ (지상2층)마을카페 작은도서관주민협의회 (운영위원회)
48호천 생활문화센터 (3차)995 (2014.8.30.)엄광로 495번가길 36연면적 199.82㎡ (지상2층)마을카페 마을지기사무소주민협의회 (호천마을)
49웃마실카페 (6차)329 (2016.4.28.)가야대로 510번길 60연면적 187.81㎡ (지상2층)마을카페, 주민다목적실주민협의회 (가야2동) 
50영 도 구 (3)주민어울림마당 북카페110 (2014.10.27.)청학남로 13번길 18연면적 62.92㎡ (지상3층 증축)북카페영도구 직영 
51봉래산둘레길  휴게소300 (2015.11.27.)해돋이3길 410-1연면적 58.35㎡ (지상4층)전망대 휴게소해돋이 마을 협의회 
52봉산찬새미 작은도서관320 (2016.4.24.)하나길 733연면적 120㎡ (지상2층,리모델링)작은 도서관영도구 직영 
53사상구(1)냉정마을 어울림센터 (4차)1,270 (2016.9.6.)진사로 36번길 46(주례2동)연면적 348.78㎡ (지상3층/건물2층)문화센터, 주민 사랑방, 창업지원센터, 옥상정원사상구 직영

오보근  


주로 북카페나 주민 쉼터를 만들었네요. 어떻게나 저렇게 생각들이 똑같을까요?

단독주택에 살면 가장 불편한 것 중하나가 택배나 우편물 수령이 아닐까 하는데요.. 이런 생활밀착형 사업은 하나도 보이지 않네요.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도서관이나 북카페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얼마나 될까요? 청년창업 공간은 보이지도 않네요. 예산을 나눠줄때도 사업계획성이나 중복되는 부분들은 감안해서 시행해야 당초 목적에 부합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Recent posts